본문 바로가기

취미생활

(28)
문화와 과학이 있는 집 이야기 /4. 특별한 한옥 너와집과 굴피집 <4> 산간 지대 사람들이 지은 특별한 한옥 너와집 - 도끼로 쪼갠 소나무·전나무 널판지 겹쳐 덮어 굴피집 - 굴피나무·상수리나무의 두꺼운 껍질로 지붕 이어 옛날에 가장 많았던 한옥인 초가집과 기와집은 지붕을 이은 재료에 따라 생긴 이름입니다. 초가집은 볏짚이나 밀짚ㆍ갈대..
문화와 과학이 있는 집 이야기/ 3, 기후에 따른 다른 한옥의 평면 구성 <3> 남쪽은 '대청 마루', 북쪽은 '정주간'이 특징 영화나 텔레비전에서 다른 나라를 소개할 때, 나라마다 색다른 모습을 하고 있는 집들이 먼저 눈에 띌 거예요. 어느 나라에서나 마찬가지로, 사람이 사는 집은 저마다 다른 자연과 사회ㆍ문화 환경에 따라 독특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입..
문화와 과학이 있는 집 이야기/ 2. 우리나라 전통의 가옥 한옥 <2> 쓰는 사람 따라 다른 '채'와 '마당'으로 이뤄져 우리 나라의 집은 한옥이라고 하고, 민가라고도 많이 불립니다. 오늘은 한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우리 나라의 집에 관해 설명하도록 하고, 민가의 뜻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 안채·바깥채·마당의 기본..
문화와 과학이 있는 집 이야기/1.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룬 엣날 집들 <1> 산 등지고 물 바라보는 '최고의 보금자리' 이 상 해(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오랜 옛날부터 사람들은 몸과 마음을 편히 쉬면서 가족끼리 정을 나눌 수 있는 아름답고 안전한 좋은 집을 짓기 위해 온갖 지혜와 기술을 다했습니다. 따라서 집에는 그 시대까지 쌓아 온 최고의 ..
한지 하얗고 윤이나는 품질 좋은 종이 종이는 화약, 나침반과 함께 중국의 3대 발명품이라고 불린다. 우리나라는 중국 다음으로 일찍부터 종이를 사용한 나라로 알려져 있다. 우리 조상들은 종이를 어떻게 사용했을까? 종이의 발명 종이는 글과 그림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매체다. 종이가 발명되기 전 사람들은 다양한 기록매체..
한지의 과학 채륜이 만든 종이 채후지 대개 채륜을 종이의 발명가로 알고 있으나 그는 종이의 발명가라기보다는 문자를 기록할 수 있는 종이의 개발자라고 하는 편이 옳다. 종이는 채륜이 개발한 종이가 나오기 200년 전으로 추측되는 시기의 유적에서도 종종 발견되는데 이때의 종이들은 풀솜이나 ..
목공구)자귀 목재를 찍어서 깎고, 가공하는 연장으로 주로 대목들이 사용한다. 도끼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도끼날이 자루에 평행하게 박혀있는 반면 자귀날은 자루와 직각으로 박혀있다. 자귀날은 자루에 직접 박지 않고 나무토막에 날을 박고 이 나무토막 중간에 자루를 끼우게 된다. 이때 박은 자루..
톱질요 이여흥애로구나. 살먹 같은 요톱은 시르릉슬짝 낭먹어간다. 접군님네 일심동력. 하당말민 놈이나 웃나. 먹통줄을 선생삼아 요 산 중에 놀던 나무 오늘날은 몸갈라 온다. 대톱질 소리 시르릉 화르릉. (제주지방 민요) 좁고 긴 쇠판에 일정한 간격으로 날을 내어 톱틀에 끼워서 둘 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