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미생활/목공예

(15)
목공구)자귀 목재를 찍어서 깎고, 가공하는 연장으로 주로 대목들이 사용한다. 도끼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도끼날이 자루에 평행하게 박혀있는 반면 자귀날은 자루와 직각으로 박혀있다. 자귀날은 자루에 직접 박지 않고 나무토막에 날을 박고 이 나무토막 중간에 자루를 끼우게 된다. 이때 박은 자루..
톱질요 이여흥애로구나. 살먹 같은 요톱은 시르릉슬짝 낭먹어간다. 접군님네 일심동력. 하당말민 놈이나 웃나. 먹통줄을 선생삼아 요 산 중에 놀던 나무 오늘날은 몸갈라 온다. 대톱질 소리 시르릉 화르릉. (제주지방 민요) 좁고 긴 쇠판에 일정한 간격으로 날을 내어 톱틀에 끼워서 둘 또..
먹통과 먹칼 http://cafe.daum.net/myhanok/DsxA/10 먹통은 목수나 석공들이 자재를 가공하기 위하여 선을 긋는데 사용하는 필수적인 연장으로 '먹줄통' 혹은 '묵두'(墨斗)라고 부른다. 먹통은 중국에서 기본구조가 고안된 후 우리나라로 전래되었고, 다시 일본으로 전래되었다. 손에 쥐어질 만한 장방형의 통재..
그무게 그므개 나무의 한쪽 끝에서 일정한 거리로 평행선을 긋는데 사용하는 연장으로 '치목긋기칼', '금쇠' 또는 '촌목'이라고 불린다. 정사각형이나 사다리꼴의 나무 가운데를 네모지게 뚫고 그곳에 나무막대를 끼운 형태로 나무막대에 금을 긋고자 하는 수만큼 못끝이 나와있다. 쐐기를 이용..
<TV쇼 진품명품>의 감정위원 양의숙의 골동 이야기 전통은 변화해야 하는 것 지난 40년간 여한 없이 하고 싶은 일에만 몰두해 지냈다는 양의숙 씨. 고미술 화랑 예나르는 그 열정의 시발점이다. “대학원 졸업 논문으로 반닫이 장식 문양의 변천사를 썼어요. 제주도에 있는 반닫이 5백 개를 실측하고 소장자를 인터뷰했는데 결과물이 무척 ..
전통가구로 인테리어 하기 아파트에 들어앉은 전통가구, 안방의 품격이 달라지네요 전통가구가 가장 잘 어울리는 집은 물론 우리 전통 가옥인 한옥이다. 그러나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입식 생활을 기준으로 한 아파트나 양식 주택에서 살고 있다. 입식 공간에 좌식 가구인 우리 전통 가구를 어울리게 배치하는..
풍속화와 근대기 사진 속 조선의 목수와 목가구 ① 목가구는 자연환경과 인문적 환경을 기반으로 한 의식주 생활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습니다. 국토의 70% 이상이 산지인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목기의 제작이 발달하였습니다. 이 땅에 살았던 사람들과 함께 했던 옛 가구들은 잦은 전란과 온돌의 과열로 인한 화재, 망자의 기물을 소각하는..
장[欌]이란?, 세부 명칭과 구조, 종류 장[欌]이란? 장은 농과 달리 층이 분리되지 않고 널과 기둥 또는 널과 널을 결속한다. 즉 장은 여러 층으로 되어 있어도 앞널과 측널이 하나로 구성된다. 장의 발생이나 기원에 관한 구체적인 문헌 기록은 없으나 1775년에 간행된 《역어유해보 譯語類解補》에 수궤(竪櫃)라는 기록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