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미생활/목공예

(15)
농[ 籠 ]이란?, 세부 명칭과 구조, 판형 농, 기둥형 농 농[ 籠 ] 농은 버들이나 싸리, 대나무 등을 엮어 만들고 겉과 속에 종이를 바른 자그마한 가구로써 그릇 또는 옷 따위를 넣어 두는 데 사용되었다. 농은 원래 죽기(竹器)를 의미하였던 것인데 나무나 버들로써 만든 것을 농이라고 불렀다. (徐有" 『林園經濟志』 贍用志 卷3) 『고려도경(高..
목재의 짜임1-각재와각재의 짜임 〈맞짜임〉 두 목재를 특별한 가공없이 맞대잇는 짜임 〈턱짜임〉 목재 옆면의 따낸 턱에 다른 목재를 걸치거나 끼우는 짜임 <장부짜임〉 한쪽 목재에는 장부를, 다른 목재에는 장부구멍을 파서 끼워 맞추는 짜임 〈연귀짜임〉 45°로 짜맞추어 직교하거나 경사지게 교차되는 짜임 <..
목재의 짜임2-판재와 판재/ 각재와 판재의 짜임 판재와 판재의 짜임 〈턱짜임〉 목재의 측면을 따낸 턱에 다른 목재를 끼우는 짜임 〈사개짜임〉 상자등의 모서리를 여러 갈래로 나누어 서로 물리게 하는 짜임 〈주먹장사개짜임〉 한쪽에는 주먹형의 촉을, 다른쪽에는 그 촉에 끼워진 홈을 파서 끼워 맞추는 짜임 〈장부짜임〉 한쪽 ..
목가구ㅣ소반-일주반 일주반ø 273×244㎜│21-23430 은행나무로 제작된 일주반이다. 상판은 12각형이며, 전(변죽)은 다른 목재로 상판의 각을 따라 턱짜임으로 연결 후 대나무못으로 보강하였다. 상판의 하부에는 테두리를 따라 박쥐 형태를 단순화한 운각이 달려있다. 다리는 일주형이며 상부, 기둥, 하부로 나..
목가구ㅣ지역별 소반_해주식소반,나주식소바,통영식소반,일주반,다각반| 목차해주식 소반나주식 소반통영식 소반지역별 소반의 특징 비교일주반과 다각반 소반은 우리나라 좌식생활의 단면을 가장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주방가구의 하나이다. 소반은 식기를 받치거나 음식을 먹을 때 쓰는 작은 상으로 다른 가구와 달리 계층을 막론하고 널리 사용한 생활필..
전통 목가구) 이층 찬장의 도면 이층 찬장 (1) 이층 찬장1150×520×1482㎜│06-06545 이 장은 느티나무, 소나무로 제작된 이층 찬장이다. 가로와 세로의 비례가 장방형으로 일층, 이층이 모두 여닫이이고, 이층은 천판 밑으로 양 끝에 두 개의 서랍을 두어 수납기능을 주었다. 문판, 쥐벽칸, 머름칸은 결이 좋은 느티나무를 대..
목가구 용어 사진을 누르면 확대된 이미지를 수 있습니다. 장 농 1) 천판(天板) 장롱이나 소반, 상자 등에서 하늘을 보고있는 면의 널. 2) 개판(蓋板) 장이나 농의 천판에 양 옆과 앞으로 뻗어 나오도록 댄 나무판. 3) 널(板) 목재를 켠 널판지, 판재. 부위에 따라 앞널, 측널, 뒷널, 밑널, 층널로 불린다.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