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61)
쇠시리(몰딩)에 사용하는 대패-살밀이,모끼,옆대패,턱대패 |문화재기술자김종남연장화첩 한옥학교 | 조회 121 |추천 0 |2012.10.04. 14:08 http://cafe.daum.net/myhanok/Douq/11 김종남의 블로그 한옥을 생각한다 한옥시공 길라잡이 한옥짓는 법 김종남,돌베게 쇠시리 [molding] moulding이라고도 씀. 건축이나 장식예술 분야에서 돌출된 곳, 움푹 패인 곳(코니스·아키..
다림보기와 먹통 먹통으로 다림보기 중 김홍도 즙와도 먹통 자재를 가공하기 위하여 선을 긋는 데 사용하는 연장. 장방형의 두꺼운 통재에 앞뒤로 두개의 구멍을 파내어 한쪽은 먹물을 묻힌 솜을 넣어두는 먹솜칸을, 다른 한쪽은 먹줄을 감을 수 있도록 타래를 끼워놓았다. 먹통에는 먹칼[墨刀]이 딸려..
목수의 상징 먹통 먹통과 먹줄꽂이 (사진_김종남, 울트라박물관 소장) 먹통은 장방형의 두꺼운 나무에 두개의 구멍을 파내 앞쪽은 먹물솜을 넣어두고, 뒤쪽은 먹실을 감는 타래를 끼워 둔다. 먹줄 칠 때는 먹줄꽂이를 한쪽 끝에 꽂고 먹줄을 풀어 반대쪽 끝에 먹통을 단단히 맞춘 다음 먹줄을 들어 퉁기면..
목수의 개성과 재주가 발휘되는 공예품 목수의 개성과 재주가 발휘되는 공예품ㅣ한옥학교 |문화재기술자김종남연장화첩 한옥학교 | 조회 145 |추천 0 |2012.10.22. 17:05 http://cafe.daum.net/myhanok/Douq/14 조선시대 건축 장인들은 대개 자기 직능에 맞는 연장을 사용하였는데, 특별한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직접 만들어 썼다. 이 때문에 ..
전통 도량형-척관법과 자 사진을 클릭하면 원본을 볼 수 있습니다. 영조-척(營造尺)「명사」 목수가 쓰는 자. 주척(周尺)의 한 자 네 치 구 푼 구 리에 해당한다. 포백-척(布帛尺) 「명사」 바느질-자 「명사」 바느질을 할 때에 쓰는 자. ≒침척(針尺)ㆍ포백척(布帛尺).약 51.2cm 사진_김종남 척근법(尺斤法), 척관법(尺..
장척 사진ㅣ김종남(소장-신응수 대목장, 모델_신재한 목수) 장척 (長尺) 1 건축용어사전, 현대건축관련용어편찬위원회, 2011.1.5, 성안당 곧은 목재에 척도의 눈금, 각부의 치수를 매긴 목공사용 자. 길이는 필요에 따라 2~4m의 것을 만든다. 목공사에서 토대나 기둥 등 부재의 길이나 마름질, 기타 ..
여러가지 자(尺) 중국 고대 창조신화 여와-복희도 자 : 길이·너비·깊이·두께·각도 등을 헤아리는 데 쓰는 연장. 자는 목재를 마름질하는 데 쓰이는 것, 토지를 재는 것, 피륙을 재는 것 등 재는 대상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집을 짓거나 배를 만드는 데 쓰인 자가 종류나 형태에 있어 가장 다..
다림보기와 다림추 다림보기 먹통으로 다림보기중인 도편수들 (왼쪽) 김홍도, 기와잇기 (오른쪽) 14세기 일본화 기둥을 초석위에 세우고 전면과 측면에서 추를 내려뜨려 기둥에 쳐놓은 중심 먹선과 추선이 일치하도록 한다. 이 두 선이 일치하면 기둥은 전후와 좌우에서 수직으로 선 것이다. 이렇게 기둥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