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61) 썸네일형 리스트형 높은 누마루 대신 이런 다정한 정자가 붙어있는 한옥 어때요? - 울산 김회장댁(외관) 본채 27평, 별채 15평 원래 ㄱ자형 집에 방을 내려던 공간으로 가구를 짜서, 누마루 높이가 아니고 본채와 같은 높이로 만들어졌습니다. 그런데 방이 3칸이나 나오고, 별채도 따로 있고 해서 수장재 시공단계에서 계획을 변경하게 돼서 결과적으로 정자처럼 보입니다. 집마당에 흔히 내어.. 조립식 모듈·복층 한옥… 단열·불편함 개선한 한옥의 변신 컨템퍼러리 한옥에 살으리랏다 땅콩집, 외콩집에 이어 한달 만에 한옥을 짓는다는 소위 ‘하루한옥’도 나타났다. 자재를 공장에서 만들어 조립하는 한옥으로 일명 ‘레고한옥’이다. 얼마 전에는 여수에 국내 세 번째 한옥호텔이 들어섰고, 한옥 디자인을 도입한 아파트는 분양 성황을 이루는 중이다. 이런 와중에 서.. 돈 안드는 집의 비밀 /친환경 미래주택을 말하다 한국문양의 유형과 특성 세계 어느 곳에서든 문양은 주변에서 쉽게 발견되는 자연적인 요소에서부터 기하학적 요소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재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한국 문양의 경우 자연에서 쉽게 발견되는 꽃이나 열매, 새 등의 식물은 물론 용, 봉황, 사자, 사슴 등의 영물들에 이르기까지 그 소재가 매우 .. 한국건축의 조형 건축의 조형미는 여러 가지로 분석되고 측정되어 결론에 도달된다. 말하자면 건축이 놓여지는 주변환경이라던가 건축자체가 갖고 있는 형태나 색상들, 그리고 이들 형태와 색상에서 나타나는 대비, 반복, 비례, 조화 등등 여러 가지 조건드리 분석되고 파악되어야만 전체적인 평가기준.. 한국 목조 건축의 흐름 우리 민족의 건축문화는 신석기시대의 수형주거(움집)으로부터 시작하여 청동기시대, 초기철기시대, 원삼국시대, 삼국시대를 거치는 동안 타 민족과의 문화교류와 생활자체의 다변화로 점차 기술이 혁신되고 건축재료의 변혁에 의해 점진적으로 발전하여 왔다. 건축이란 어느 민족, 어.. 석조 문화재의 각부 명칭 석조문화재별 각부 명칭 석탑의 각부 세부명칭 석탑 상륜부의 세부명칭 승탑의 각부 세부명칭 석등의 각부 세부명칭 당간의 각부 세부명칭 불상의 세부명칭 석비의 각부 세부명칭 출처ㅣ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이야기1, 문화재청 수리기술과 문화와 과학이 있는 집 이야기 /4. 특별한 한옥 너와집과 굴피집 <4> 산간 지대 사람들이 지은 특별한 한옥 너와집 - 도끼로 쪼갠 소나무·전나무 널판지 겹쳐 덮어 굴피집 - 굴피나무·상수리나무의 두꺼운 껍질로 지붕 이어 옛날에 가장 많았던 한옥인 초가집과 기와집은 지붕을 이은 재료에 따라 생긴 이름입니다. 초가집은 볏짚이나 밀짚ㆍ갈대.. 이전 1 2 3 4 5 6 7 ··· 21 다음 목록 더보기